글
1. 절대진리! 문제속에 답이있다
수학문제는 한문장 한문장 하나가 중요한 명제입니다
수능 문제는 이 명제들을 최대한 오류 없이 엄밀이 내는데 주력하며
하나의 명제도 문제를 푸는데 필요하지 않는게 없습니다.
즉 명제 하나하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만 제대로 파악하고 있으면
문제를 어떻게 푸는지가 한방에 다 보인다는 뜻
문제를 풀때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전부 정리하고
푸는 과정에서 그 조건들을 전부 다 활용해야만 풀리게 문제가 설계되어있습니다
즉 주어지지 않은 조건을 쓴다거나 조건이 남는다면 그 문제는 100% 틀린거임
2. 수학은 논리의 학문이다
수학문제를 풀때 실수를 자주하거나 계속 문제 바깥을 겉도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가장 큰 문제는 수학을 '논리적'으로 풀 생각을 안하기 때문입니다.
수학은 한 문장을 쓰면 그 문장에 다양한 의미가 있습니다.
한문장 한문장 쓸때 그 의미를 명확히 알고 다음문장으로 넘어가야 하는데
자기가 쓰는 문장이 무슨의미인지도 모르고 그냥
비슷하게 기계적으로 풀릴것 같은 모양새로 조각하듯 다듬어 나가는 문제풀이 방식은
100% 오답의 지름길입니다.
'왜' 이문장을 써야 하는지 고민하고 그 답을 알고 난 뒤에 다음문장으로 넘어가세요
이 연습 좀만 하다보면 이해해야할 내용이 급격히 줄어듬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수학'은 '수'의 '학'문이다
정석이니 개념원리니 뭐니 해서 유형별로 문제만 와방 푸는 학생들 많습니다
이는 가장 무식한 공부 방법중 하나입니다.
수학은 학문입니다. 이는 무엇이냐 원리와 이론을 기반으로 문제가 쌓아 올라간다는 말입니다
문제집에서 풀이 쓰는 선생님들, 전부 고등학교 수학의 학문적 지식을 다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그 지식에 기반하여 풀이를 작성해 놓은 것입니다
풀이의 수학적 의미가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백날 들여다 봐야
풀면 까먹고 풀면 까먹고의 반복입니다
교과서에 나온 기초적인 내용들부터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까먹지 않기 위해 노력하세요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내용을 이해하고나서 쉬운문제부터 정복하면
어려운문제의 산까지 가는건 금방입니다.
(그리고 수능은 쉽게 풀리는 문제가 90%로 구성되어있습니다.)
4. 진도는 자비가 없다
보통 수1을 풀다가 안배운 내용이 나왔다고 갸우뚱 거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대부분 수학10을 제대로 안해서 생기는 문제점입니다.
2차방정식, 곱셈공식, 인수분해, 삼각함수, 수 1에서 복습 전혀! 안해줍니다.
수1은 수학10을 '완벽하게'이해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쓰여진 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1 문제를 풀때 내용은 다 아는데 어렵다 느껴질 때가 있으면
수학10에서 내가 막히는 부분이 나왔지 않았었나 다시한번 검토해 보세요
그리고 취약점을 찾아 내용을 완벽하게 마스터 하고 오세요
수학문제는 한문장 한문장 하나가 중요한 명제입니다
수능 문제는 이 명제들을 최대한 오류 없이 엄밀이 내는데 주력하며
하나의 명제도 문제를 푸는데 필요하지 않는게 없습니다.
즉 명제 하나하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만 제대로 파악하고 있으면
문제를 어떻게 푸는지가 한방에 다 보인다는 뜻
문제를 풀때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전부 정리하고
푸는 과정에서 그 조건들을 전부 다 활용해야만 풀리게 문제가 설계되어있습니다
즉 주어지지 않은 조건을 쓴다거나 조건이 남는다면 그 문제는 100% 틀린거임
2. 수학은 논리의 학문이다
수학문제를 풀때 실수를 자주하거나 계속 문제 바깥을 겉도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가장 큰 문제는 수학을 '논리적'으로 풀 생각을 안하기 때문입니다.
수학은 한 문장을 쓰면 그 문장에 다양한 의미가 있습니다.
한문장 한문장 쓸때 그 의미를 명확히 알고 다음문장으로 넘어가야 하는데
자기가 쓰는 문장이 무슨의미인지도 모르고 그냥
비슷하게 기계적으로 풀릴것 같은 모양새로 조각하듯 다듬어 나가는 문제풀이 방식은
100% 오답의 지름길입니다.
'왜' 이문장을 써야 하는지 고민하고 그 답을 알고 난 뒤에 다음문장으로 넘어가세요
이 연습 좀만 하다보면 이해해야할 내용이 급격히 줄어듬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수학'은 '수'의 '학'문이다
정석이니 개념원리니 뭐니 해서 유형별로 문제만 와방 푸는 학생들 많습니다
이는 가장 무식한 공부 방법중 하나입니다.
수학은 학문입니다. 이는 무엇이냐 원리와 이론을 기반으로 문제가 쌓아 올라간다는 말입니다
문제집에서 풀이 쓰는 선생님들, 전부 고등학교 수학의 학문적 지식을 다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그 지식에 기반하여 풀이를 작성해 놓은 것입니다
풀이의 수학적 의미가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백날 들여다 봐야
풀면 까먹고 풀면 까먹고의 반복입니다
교과서에 나온 기초적인 내용들부터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까먹지 않기 위해 노력하세요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내용을 이해하고나서 쉬운문제부터 정복하면
어려운문제의 산까지 가는건 금방입니다.
(그리고 수능은 쉽게 풀리는 문제가 90%로 구성되어있습니다.)
4. 진도는 자비가 없다
보통 수1을 풀다가 안배운 내용이 나왔다고 갸우뚱 거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대부분 수학10을 제대로 안해서 생기는 문제점입니다.
2차방정식, 곱셈공식, 인수분해, 삼각함수, 수 1에서 복습 전혀! 안해줍니다.
수1은 수학10을 '완벽하게'이해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쓰여진 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1 문제를 풀때 내용은 다 아는데 어렵다 느껴질 때가 있으면
수학10에서 내가 막히는 부분이 나왔지 않았었나 다시한번 검토해 보세요
그리고 취약점을 찾아 내용을 완벽하게 마스터 하고 오세요
RECENT COMMENT